PNU Busan Eye Clinic
녹내장
시신경이 손상되면서 시야결손이
비가역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
조기에 발견되지 않으면 치료가 어려워지는 특징이 있기에,
녹내장의 조기진단이 가장 중요한 치료입니다.
높은 안압이 녹내장의 위험요소 중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과거에는 비정상적인 안압상승이 녹내장을 유발한다고 생각을 하였지만, 현재는 안압상승이 녹내장 발생의 여러 원인 중 하나로 정상적인 안압에서도 혈류저하 같은 안구의 순환 장애, 당뇨, 고혈압, 고도근시, 가족력이 있는 경우 혈류의 불안정성이 녹내장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PNU Busan Eye Clinic
녹내장 종류
안압의 정도, 해부학적요인, 증상의 발현 양상, 원인 유무, 발생 시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녹내장이 있습니다.
정상안압 녹내장 | 한국인에게 가장 흔한 녹내장이며 매우 천천히 진행합니다. |
개방각 녹내장 | 안압이 높은 경우이며 안압 조절이 잘 되지 않으면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 |
폐쇄각 녹내장 | 드물며 천천히 진행하거나 급격하게 발생 할 수 있습니다. 눈에 갑작스럽고 고통스런 압력이 발생합니다. |
이차성 녹내장 | 눈 외상 또는 포도막염과 같은 다른 눈 질병의 결과로 발생합니다. |
선천성 녹내장 | 드물지만 심각할 수 있습니다. 출생 시 또는 출생 직후에 발생합니다. |
녹내장 증상 및 자가진단
주변부 시야가 좁아지면서 시력저하가 진행되며, 말기까지 자각증상이 없어 진단이 늦어지는 이유가 됩니다.
- 개방각 녹내장의 경우 환자가 증상을 느끼면 이미 대부분 말기로,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.
- 환자가 먼저 녹내장을 인지하기는 힘들며, 안과의사의 진료가 필요합니다.
- 연령이 증가할수록 녹내장 위험이 높아지며 40대 이후,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반드시 정기검사를 시행하여야 합니다.
녹내장 자가진단
01 연령이 40세 이상인 경우
02 녹내장 가족력(부모, 형제 중 녹내장 환자)이 있을 경우
03 당뇨병, 고혈압, 동맥경화증 등 혈관계 질환이 있는 경우
04 고도 근시인 경우
05 편두통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
06 손발이 심하게 차가운 증상과 같은 말초혈액 순환장애가 있을 경우
07 건강검진 상 녹내장이 의심되는 경우
(안압이 높거나, 시신경 유두 이상 소견)